미목 이주강 선생님 네이버 블로그에 방문해주세요. https://blog.naver.com/miemok_seogak/222916879770

 

상주 의암고택 모임당 현판 (2011년 미목 이주강 서각)

[작품] 상주 의암고택 모임당 현판 尙州 依巖古宅 慕任堂 懸板 [서각] 미목 이주강 (美木 李住江) [서예] ...

blog.naver.com

 

[작품] 상주 의암고택 모임당(尙州 依巖古宅 慕任堂) 현판 

[서각] 미목 이주강

[제작] 2011년

[소재] 경상북도 상주시 운평2길 42-7 (낙동면)

 

완성된 모임당 현판

 

풍양조씨 의암고택 모임당 현판
의암고택 전경 (사진출처: 코자자)

 

의암고택(依巖古宅)은 모임당(慕任堂) 연안이씨(延安李氏)가 지은 건물이다. '의암(依巖)'은 조범구(趙範九)선생의 호로서, 의암고택이라는 당호는 후대인이 의암 조범구 선생의 덕망을 기리기 위해 붙인 건물명칭이다. 이 집으로 드나드는 대문 앞에 있는 탕건 모양의 큰 바위를 '탕건석'이라 하는데, 관습적으로 사람들이 이 탕건석을 '의암'으로 지칭하기도 한다.
의암고택은 조선 후기에 지은 건물로서, 정침(안채)과 사랑채, 안사랑채, 고방채, 대문간채, 사당, 뒤주채, 장독대 등 조선 시대 사대부 주택의 구성 요소를 고루 갖춘 집이다. 1986년 지방문화재 문화재자료 제177호로 지정되었으며, 2012년 10월(경상북도 고시 2012.10.22)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153호 '상주의암고택'으로 승격지정 되었다.
[출처] 국가문화유산포털 

미목 이주강 선생님 네이버 블로그에 방문해주세요. https://blog.naver.com/miemok_seogak/222916874080

 

[작품] 안동 봉정사 성보관 현판 鳳停寺 聖寶館 懸板

[서각] 미목 이주강 (美木 李住江)

[서예] 근일 스님 (勤日 스님) 

[제작] 2007년 

[소재] 경북 안동시 서후면 봉정사길 222

  

완성된 성보관 현판

 

봉정사 성보관 개관식(2007.8.10)

 

봉정사 성보관 개관식(2007.8.10. 뉴시스)

 

미목 이주강 선생님 네이버 블로그에 방문해주세요. 

https://blog.naver.com/miemok_seogak/222913996869

 

군위 법주사 일주문 청화산법주사 현판 (2014년 미목 이주강 서각)

[작품] 법주사 일주문 청화산법주사 현판 靑華山法住寺 懸板 [서각] 미목 이주강 (美木 李住江) [제작] 201...

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miemok_seogak/222928250405

 

군위 법주사 화엄실, 육화당 현판 (2014년 미목 이주강 서각)

[작품] 청화산 법주사 화엄실, 육화당 현판 靑華山 法住寺 華嚴室, 六和堂 懸板 [서각] 미목 이주강 (美木 ...

blog.naver.com

 

[작품] 청화산 법주사 일주문, 화엄실, 육화당 현판 (靑華山 法住寺, 480년 창건)

[서각] 미목 이주강 

[제작] 2014년 9월 

[소재] 경북 군위군 소보면 달산리 773

 

청화산 법주사 일주문 현판

 

청화산 법주사 일주문 현판(단청하기 전)

 

완성된 청화산법주사 현판

 

현판 완성과정

 

법주사 화엄실 현판

 

법주사 육화당 현판
법주사 육화당, 화엄실 현판 제작 과정

 

미목 이주강 선생님 네이버 블로그에 방문해주세요.  https://blog.naver.com/miemok_seogak/222916843823

 

안동 지장사 대웅전, 산신각 현판과 주련 (2006년 미목 이주강 서각)

[작품] 안동 지장사 대웅전 및 산신각 현판과 주련 地藏寺 大雄殿 山神閣 懸板, 柱聯 [서각] 미목 이주강 (...

blog.naver.com

 

[작품] 안동 지장사 대웅전 및 산신각(地藏寺 大雄殿 山神閣) 현판과 주련 
[서예] 송하 백영일 
[서각] 미목 이주강 
[제작] 2006년 
[소재] 경상북도 안동시 남후면 암산길 92-1

 

지장사 대웅전 현판

 

지장사 대웅전 현판 및 주련

<주련>

刹塵心念可數知(찰진심념가수지)         이 세상 모든 티끌 다 헤아려 알 수 있고
大海中水可飮盡(대해중수가음진)         큰 바다의 물까지 모두 마실 수 있으며
虛空可量風可繫(허공가량풍가계)         허공을 알고 바람을 묶는 재주가 있어도
無能盡說佛功德(무능진설불공덕)         부처님의 공덕은 다 말로 못하리라. 
 

 

지장사 산신각 현판

 

지장사 현판 및 주련

<주련>

靈山昔日如來囑(영산석일여래촉)         옛날 영산에서 부처님의 위촉으로
威振江山度衆生(위진강산도중생)         이 강산의 중생 제도위해 위엄 떨치셨네.

 

 

 

** 주련 문구의 해석 자료는 청남 권영한 님의 홈페이지(http://www.andongkwon.pe.kr)에서 가져왔습니다. 감사드립니다.


 

미목 이주강 선생님 네이버 블로그에 방문해주세요.  https://blog.naver.com/miemok_seogak/222911291679

 

경산 삼성현역사문화관 원효불기 (2014년 미목 이주강 서각)

[작품] 경산 삼성현역사문화관 원효불기 (三聖賢歷史文花館 元曉不羈) [서각] 미목 이주강 (美木 李住江) [...

blog.naver.com

 

[작품] 경산 삼성현역사문화관 원효불기 (三聖賢歷史文花館 元曉不羈)

[서예] 송하 백영일

[서각] 미목 이주강

[제작] 2014년 여름~겨울

[크기] 38.4m*1.73m (가로*세로)

[소재] 경상북도 경산시 남산면 삼성현공원로 59

 

경북 경산시에서 삼성현(일연, 설총, 원효)을 기념하기 위해 2015. 4. 30 개관한 삼성현역사문화관의 1-2층 로비에 설치된 작품 '원효불기'입니다. 작품 길이가 38.4미터인 대작으로 ≪삼국유사≫ 권4 원효불기(元曉不羈)에 실려 있는 설화를 한 글자 한 글자 소나무 판재에 서각하여 끼워넣기로 설치한 대작입니다. 

 

역사문화관 로비 작품사진 (출처: 원효불기 브로셔)

 

원효불기 (일연선사의 '삼국유사' 권4 의해편에 수록되어 있으며, 원효대사의 행적과 사상, 그의 아들 설총선생에 관한 이야기를 담고 있음.)

 

미목 이주강 선생( 왼쪽/서각가 )과 송하 백영일 선생(오른쪽/서예가 )

 

원효불기 1면
원효불기 2면
원효불기 3면

 

원효불기 사진

 

후학 백영일 삼가쓰고 이주강 삼가 새김

 

삼성현역사문화관 전경(홈페이지 캡쳐)

 

------------ 제작 과정 -------------

 

曉 각자

 

제작 중인 원효불기

 

원효불기 설치 공사

 

원효불기 설치 공사

+ Recent posts